똘수의 변명 대봉산 산행(2013.5.4)
오늘은 나 똘수가 산행기도 쓰고 세상사람 들에게 쓴 소리도 좀 하겠습니다.
똘수는 함양군 병곡면 원산리 지소마을의 민재여울목산장을 지나자마자 이정표를 따라 우측으로 산행을 시작하여
천왕봉과 계관봉사이에 있는 안부에서 먼저 천왕봉을 왕복하고 다시 계관봉을 거쳐 빼빼재로 가다가
첫번째 지소마을 이정표를 따라 좌측으로 하산하여 원점회귀 하였습니다만 하산길이 너무 희미하고
길 상태도 좋지 않으므로 그다음 이정표에서 지소마을 하산을 권유하고 싶습니다.
지소마을에서 시계반대 방향으로 한바퀴도는 산행을 하였답니다.
대봉산은 계관봉 정상쪽은 비록 암봉이지만 대체로 전형적인 육산으로 등산로가 대부분 푹신푹신하여 걷기가 편했습니다.
대봉산은 백두대간 백운산에서 분기하여 빼빼재를 지나 계관봉과 천왕봉을 들어올려 생긴 산이라고 합니다.
신록의 5월이지만 정상쪽은 아직도 갈색 이었고 천왕봉 가는길은 철쭉 군락지로 꽃이 만발하면
대장관을 연출할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주변산군들에 대한 조망이 일품이었습니다.
덕유산,영취산,백운산,장안산,지리산 천왕봉등 주능선,삼방산,그리고 월봉산,금원산,기백산,거망산,현성산등 주변산군들이
시원스럽게 조망되는 멋진 산행이었지만 시계가 아주 좋지는 않아 지리산 천왕봉쪽은 아주 희미하게 보였던게 아쉬웠습니다.
어제 서울에서 내려와 오늘 보름만에 산에 갔는데 여독도 풀리지 않고 날씨까지 더워서 그런지 물도 많아 마시고 힘이든 하루였습니다.
나는 네발로 걸으니까 두발로 걷는 엄마 아빠보다 산을 더 잘 타는데 오늘은 컨디션 난조까지 겹쳐 조금 힘들었습니다.
오늘은 물을 충분히 준비하여 다행이었지만 무더운 날씨에 산행 하다보면 가끔씩 물이 부족할때도 있지요.
그러면 엄마 아빠는 목이 타도 꾹 참고 똘수 한테만 물을 주는데 고맙다는 말을 못해 속이 상합니다.
셀수 없을 정도로 많은 산을 다닌 자칭 어엿한 산악대장 똘수지만 국립공원만은 출입금지로 못갔습니다.
두발로 다니는 사람만 출입하고 나는 네발로 다닌다고 못들어가게 합니다.
몇년전 홍천군 내면 명개리 오대산 매표소에서 국립공원관리공단 직원이 못들어가게 막아 되돌아 가는 엄마 아빠한테
얼마나 미안하고 죄송했던지 사람들은 제마음을 전혀 헤아리지 못할것입니다.
알려고 생각조차 않겠지요
사람들은 나를 무시하지만 나는 사람들의 일상대화를 어느정도 알아들으며 인간사와 세상사에 대해서도
사람들이 만약 안다면 놀랄정도로 상당히 꿰뚫어 보고 있습니다
다만 직접적인 의사소통만 못할 뿐입니다.
그러나 교감으로 마음을 주고 받습니다.
특히 엄마 아빠가 저한테 하시는 말씀은 거의 이해합니다.
무조건 무시하는 인간이 야속할 따름입니다.
사람들은 우리 동물들을 무조건 평가절하하고 그냥 하찮은 동물로 치부해 버립니다
인간은 인간만의 눈과 잣대로 이 세상을 바라보고 그들만의 가치판단기준으로 인간위주의 세상을 만들어 가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그것이 절대적이고 진실인 것으로 생각하고 있지만 이는 인간의 착각, 환상,오만 그리고 편견일 뿐입이다.
만물은 각기 다른 고유의 특성이 있고 생김새가 다를뿐 존재가치는 모두 동일하다는 것이 장자의 만물제동 사상 아닙니까?
제가 오직 답답 했으면 장자의 제물론까지 인용하겠습니까?
저의 처지를 좀 헤아려 주시기 바랍니다.
국립공원 얘기를 하다가 다른 방향으로 흘렀군요
내가 몸무게가 6킬로 5백그램인데 뭐를 얼마나 오염시킨다고 못들어가게 막습니까?
산을 훼손시키고 오염시키는 주범(?)은 솔직히 인간이 아닙니까?
이세상은 모든 동식물이 더불어 사는 삶의 터전인데 인간이 지구를 지배하는 최강자라고 횡포를 부리는게 아닙니까?
지구상의 동식물들이 지금 이순간에도 계속 멸종하고 있는데 왜 그런지 불문가지 아닙니까?
말의 수위가 지나친것 같아 그만 하겠습니다만 이것은 빙산의 일각에 지나지 않습니다.
합리적인 차별을 하면 당연히 받아들여야죠
사람들도 당연히 받아들일 것입니다.
왜냐구요 헌법상 평등도 결국은 합리적인 차별이기 때문입니다
어차피 인간위주의 세상이니까 어느정도 불합리한 제도,관행,법규,생활방식등은 비록 내 입장에서는 억울하지만
받아들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동물들의 처지는 안중에도 없고 오직 인간들의 이익과 편의만을 위한
그들만의 이기적인 제도와 행위는 최강자의 횡포 그이상 그이하도 아닙니다.
아까도 말했지만 지구는 모두 더불어 살아야하는 삶의 공간이고 터전이기 때문입니다
갑자기 이태백의 춘야연도리원서 첫구절이 떠오릅니다.
夫天地者 萬物之逆旅(부천지자 만물지역려)
세상이라는것은 만물을 나그네로서 잠시 맞이하는 곳(숙소)입니다.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식물이 잠시 머물다 가는곳입니다.
잠시 쉬었다 가는곳이라는 뜻입니다.
이처럼 사람들은 덧없는 인생을 살고 있다는 사실을 잘 알면서도 한치 앞도 못보고 왜 욕심과 횡포를 부리는지 이해할수 없습니다.
잠시 이세상에 머무르는 동안이라도 다함께 사이좋게 살았으면 좋겠습니다.
다함께 평화롭게 공존하는 세상만이 지구 생태계를 더욱 건강하게 지키는 지름길이기 때문입니다.
또 하나 유감스러운 것은 개가 왜 하필 욕설의 대명사가 돼버렸나 하는 것입니다.
그것은 역설적으로 인간의 가장 친숙한 반려동물이기 때문일 것입니다.
옛날 신분제 사회에서 인간과 가장 가까이 살았던 개는 천민보다 아래였기 때문에 쌍놈이란 욕보다 더 심한 욕에
개가 들어간 것으로 생각됩니다.
결국 개는 좋지않은것,바람직하지 않은것,비하하는 모든것의 접두사로 자연스럽게사용되어 버린것으로 추정됩니다.
너무나 억울하기 그지없습니다.
앞으로는 좋은 의미로 사용되기를 진심으로 바라지만 당장 뾰쪽한 대책이 없는
무력한 현실이 안타까울 따름입니다.
마지막으로 말하고 싶은 것은 인간에게 자연법사상에서 말하는 천부적인 인권이 있는것 처럼
나도 동물권이 있다고 감히 생각하지만 이를 인정및 보호해 달라고 당장 요구하고 싶지는 않습니다.
다만 생명체로서 존중해 주기만를 앙망할뿐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