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한계령풀(2020.04.04)

삽초 2020. 4. 4. 20:54

한계령풀을 탐사하기 위하여 2020년 4월4일 토요일 아침 7시에 똘수 포함하여 

셋이 서울을 출발하여  6번및44번국도를 이용하다가

홍천읍에서 444번 지방도로로 홍천군 동면을 거쳐 가다가 서석면과 경계인 부목재에 도착하여

임도로 대학산 입구까지 걸어가 한계령풀 군락지에 도착하였다

 

입구에 출입을 못하도록 높은 철조망으로 막아 놓았으나

철조망 좌측으로 40-50미터 정도를 올라가면

철조망 밖으로 한계령풀 군락지가 있으므로

         탐사하는데 전혀 부족함이 없었다

         역으로 생각하면 한계령풀은 철조망으로 막아서라도  

         보호및 보존할 필요성과 가치가 있는 귀한식물이라는 뜻이다

         따라서 철조망 안쪽으로 출입을 해서도 안되겠지만

         들어갈 필요도 없다

 

한계령풀은 설악산,태백산,대덕산,두타산,대학산등에만  자생하고 있는 귀한 식물로서

잎이 1개에서 9개가 되었으니 "2회3출복엽"(二回三出複葉)이란 사실을 쉽게 알수 있다.

오늘은 보기 어려운 한계령풀의 만개한 모습에 흠뻑 빠진

잊지 못할 하루였다

 

올때는 역순으로 오다가 용문에서 37번국도로 갈아타고

         오랫만에 농다치 고개,서너치고개, 솔고개를 지나 벚꽃이 만발한 남쪽 북한강변에 들어서니

         수많은 상춘객들때문에 차량정체현상이 심해

오후4시30분경이 되어서야  서울집에 도착하였지만

오가는길에 바라본 대자연은

이미 봄꽃으로 물들고

봄기운이 완연한

방춘화시(方春和時)였다.

 

 

 

 

 

 

 

 

 

 

 

 

 

 

 

 

 

 

 

 

 

 

 

 

만주 바람꽃

 

현호색

 

                                                                                            

 

진달래와 생강나무꽃

 

                                                                                                 

 

 

 

아래는 2018년4월7일자 대학산 등산겸 한계령풀 탐사 사진인데 부목재에서 대학산을 향하여 임도로 걸어가는데 함박눈이

펑펑 쏟아지는 궂은 날씨였다가 등산및 탐사를 끝내고 부목재를 내려오는데 갑자기 햇볕이 쨍쨍 내리쬐는

변덕스러운 하루였다

 

 

대학산 등산중 겨울파카로 중무장한채 포즈를 취하고 있는 산악대장 똘수